빌헬름 막시밀리안 분트(Wilhelm Maximilian Wundt)는 1832년 8월 16일에 태어나 1920년 8월 31일에 생을 마감했으며, 독일의 철학자 겸 생리학자이다. 또 그는 심리학자로 '근대 심리학의 아버지'라는 호칭으로 불린다. 그는 독일 바덴에 있는 네카라우(현재는 만하임) 출신으로 베를린 대학, 하이델베르크 대학 그리고 튀빙겐 대학에서 철학과 생리학을 배운 뒤에 생리학적 심리학 연구에 몰두하였다. 이후 라이프치히 대학(분트의 모교)에서 1875년부터 1918년까지 총 43년 동안 교수로 재직했다. 특히 그는 1879년에 심리학 실험실을 라이프치히 대학에 최초로 개설하였으며, 이 심리학 실험실은 세계 여러 나라의 심리학자들을 모여들게 하였고, 실험 심리학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또한 그는 민족 심리학도 연구하여 문화 인류학과 비교심리학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분트의 주요 저서로는 '생리학적 심리학 강요(1873년~1911년)', '철학 세계(1889년)', '심리학 원론(1896년)', '민족 심리학(1900년~1920년)' 등이 있다. 라이프치히 대학 측에서는 분트가 라이프치히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자 학생들을 처벌할 때 사용하던 강당을 실험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해주었다. 이 강당이 실험실로 바뀐 후 이곳에서 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이 처음으로 탄생하게 되었다고 많은 심리학자가 인정하고 있는데 그 이유가 이전의 심리학은 오로지 철학의 한 부분으로 보고, 과학적이지 못한 탐구 방식으로 인간의 마음을 연구했기 때문이다. 반면 분트의 실험실에서는 측정이 가능한 형태, 다시 말해 객관화된 수치로 조작된 정확한 통계와 정의를 통한 과학적인 방식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실험실에서 실행된 연구들은 시간에 대한 감각, 정신 과정의 속도 측정, 감각에 대한 분석, 주의와 기억 그리고 사고의 연합 등이 있다. 이로써 심리학은 기존 철학의 방식으로만 보는 게 아닌 과학으로서의 학문으로도 인정받았으며, 이후 분트의 실험실에서 심리학을 공부한 많은 제자가 서양 학계에서도 활발한 심리학적 연구와 교육활동을 진행할 만큼 분트의 실험실이 심리학의 기틀을 마련해주었다. 세계 최초의 심리학 실험실이 라이프치히 대학에 설치된 1879년을 현대 심리학의 시초로 보고 있으며, 이후에도 다양한 심리학 분과들이 발달할 수 있도록 기반이 되었다. 분트는 인간의 의식을 분석해야 과학적인 심리학이 된다고 믿었다. 어떤 물질의 구성을 이해하기 위해 물질을 몇 가지 기본 요소로 쪼개는 화학자들을 본 분트는 심리학에서도 인간의 의식에 대한 구성주의(Structuralism)라는 접근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여기서 구성주의 접근 방법이란 인간의 의식을 기본적인 느낌과 감각이라는 구성요소로 쪼개어서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어떠한 상황과 시점에서도 인간은 다양한 의식 상태가 공존하는데, 그것들을 내성법(자기의 내부 성찰 방법으로, 자기 경험에 대한 주관적인 관찰)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이렇게 주관적인 측정과 실험 제어로 의식과 정신의 영역을 보다 구성적인 측면으로 분석한 분트는 철학과 심리학을 구별시키는 데 기여했다. 분트가 실행했던 연구의 배경은 생리학으로 그의 연구가 감각 과정이나 반응 시간 혹은 주의에 대한 것에서부터 시작했기 때문이다. 실험 참가자들은 일반적인 자극, 예를 들어 향기를 맡거나 메트로놈의 소리에 노출된 후 그들의 감각에 대하여 이야기했다. 다시 말해, 분트는 의식적인 정신 상태를 내성법을 이용하여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연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내성법은 인과 관계를 설명하기보다는 자신에 대한 정교한 관찰법의 일종이다. 그래서 분트는 심리학 학생들이 과거 경험에 의한 한쪽으로 편향되는 상황 또는 개인적인 해석에 대해서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훈련했으며, 그 결과를 통해 의식에 관한 이론을 발달시켰다. 물론 이 모든 과정이 개인의 해석에 의존하고 그것을 단지 관찰할 뿐이기 때문에 결과가 주관적일 수 있다. 그렇기에 분트는 관찰의 일반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실험의 조건을 체계적으로 다양화 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분트는 감정 이상의 고등 정신 과정이나 감각은 실험법을 적용할 수 없는 부분이라 보고 이것을 대신하는 민족 심리학이라는 개념을 썼으며, 예술, 언어, 사회, 풍속, 종교, 신화 등 오늘날의 문화인류학이 대상으로 삼는 많은 현상들을 여기에 포함했다. 그리고 정신발달의 일반 법칙을 발견하기 위해 원시민족의 정신적인 특성을 대상으로 하여 문화적 소산인 예술, 언어, 종교, 신화 등에 관해 연구한 대작 '민족 심리학'을 집필하였으며, '국민과 그 철학'에서 각 나라의 철학적인 특성도 고찰하였다. 민족 심리학에서 다뤄지는 여러 문제는 오늘날 각기 민족학, 문화심리학, 문화인류학, 사회심리학, 발달심리학 등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현재는 민족 심리학이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분트의 실험 심리학은 행동주의 탄생에도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의 많은 실험 방법들은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그는 정신 기능의 세 부분에 관해 집중하여 연구했는데 그것은 감정(feeling), 생각(thought) 그리고 이미지(image)이다. 이 기능들은 오늘날 인지심리학에서 연구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인지 과정에 대한 연구 또한 분트로부터 출발했음을 알 수 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브러햄 매슬로(Abraham Harold Maslow) (0) | 2023.03.18 |
---|---|
장 피아제(Jean Piaget) (0) | 2023.03.16 |
진화 심리학(Evolutionary psychology) (0) | 2023.02.18 |
사회 심리학(Social psychology) (0) | 2023.01.28 |
인지 심리학(Cognitive psychology) (0) | 2023.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