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

사회 심리학(Social psychology) 사회심리학(社會心理學, social psychology)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상황, 즉 사회적 상황 요인이 개인의 생각, 행동, 느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개인과 공동체 간의 상호작용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사회적 상황에서 개인이 보이는 심적 과정을 심리적 측면에서 연구하는 학문이다. 사회심리학 학문의 학제 간 연구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사회 심리학자로 불린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 앞에서 주어진 방식으로 행동을 전개하는 요인들을 다루며, 특정한 사고, 행동, 그리고 감정이 일어나는 조건들을 연구한다. 국내에서는 사회(社會)라는 개념이 갖는 거시적인 특징 때문인지 공동체, 시사 이슈, 공중, 대중, 집단 같은 복잡한 주제만을 떠올리지만, 외국에서는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탓에 사회적 상황.. 2023. 1. 28.
인지 심리학(Cognitive psychology) 인지심리학(Cognitive psychology, 認知心理學)은 행동의 주관적인 측면을 중시하여 심리적 발달과 지식을 얻는 등 연관된 정신적 과정을 탐구하는 심리학의 분야이자 정보처리 관점에서의 인지 활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실험심리학의 영역 중 하나이다. '인지 혁명'이 촉발한 배경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한 가지는 동일한 자극에 대하여 반응 자체의 차이나 수행 수준의 차이가 나타난다는 사실 때문이다. 인지심리학은 20세기 전반의 장 피아제, 레프 비고츠키 등의 인지론적 연구나 형태 심리학을 이어가는 분야이자 신행동주의 심리학의 발전형으로 볼 수 있으며, 이해, 지각, 기억, 학습, 사고, 추론, 문제해결과 인간의 고차 인지기능을 연구 대상으로 본다. 오늘날에도 현대과학이 발전하면서 심리학에서 .. 2023. 1. 28.
발달 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이번에 다루게 될 발달 심리학(developmental psychology, 發達 心理學)은 심리학의 한 분과로 학자의 범위가 가장 넓은 심리학 중 하나이다. 발달심리학은 사람이 태어난 순간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일생 동안 환경 및 연령에 따른 정신 과정과 행동의 변화를 다루며, 전공학문에 구애받지 않아 발달 과정을 이해하려는 학자들 모두가 발달학자로 설명될 수 있다. 발달 심리학은 개인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과정의 전개에 관심을 가지며, 발달 원리는 지적 변화와 신체적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지고 행동 유형이 만들어지는 생후 20세까지의 시기에 적용되는 것과 같이 이러한 향상적인 발달 기간뿐만 아니라 이후 발달의 지속적이고 복합적인 면까지도 발달과정으로 보는 전 생애적인 발달과정을 다루는 것이 발달심리.. 2023. 1. 18.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2)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그는 1886년에 마르타 베르나이스(Martha Bernays)와 결혼했다. 마르타 베르나이스는 날씬하고 매력적인 여성이었으며, 독서를 좋아하는 총명한 여성이었다. 또한 함부르크의 수석 랍비이자 독일 낭만주의 시인 하인리히 하이네(Heinrich Heine)의 먼 친척인 이작 베르나이스(Isaac Bernays)의 손녀로 정통 유대교 가정에서 자랐으며, 그녀의 삼촌이자 이작 베르나이스의 아들인 마이클 베르나이스(Michael Bernays)는 어린 나이에 기독교로 개종하였고, 뮌헨 대학의 독일어 교수가 되었다. 프로이트는 마르타 베르나이스와 1882년 4월에 만나 4년간의 약혼 후 1886년 9월 14일에 함부르크에서 결혼했다. 약혼 기간 동안 서로에게 보낸.. 2023. 1. 18.